윈도우 (17) 썸네일형 리스트형 Windows 10 2021년 5월 업데이트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용 ISO 파일을 다운로드한 경우, 해당 파일은 선택한 위치에 로컬로 저장됩니다.컴퓨터에 타사 DVD 굽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치 DVD를 만들려는 경우, www.microsoft.com KB5005565 업데이트 후, 공유 프린터 작동 불가 현상 해결 KB5005565 업데이트 후 공유 프린터 작동 불가 현상 2021년 9월 15일자로 윈도우 10 업데이트 [KB5005565] (기업용 윈도우 10일 경우 [KB5005569])가 적용. 문제는 이 업데이트 적용 후, 프린터 제조사를 가리지 않고 모든 공유 프린터가 작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네트워크로 작동하는 프린터(프린터에 IP 주소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프린터)는 영향이 없으며, 공유 프린터(Shared Printers, 메인 PC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고, 나머지 PC는 메인에서 프린터를 빌려 쓰는 방식)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전에도 [KB5004945] 업데이트로 인해 비슷한 일이 있었다. 위의 업데이트를 제거해도 얼마 되지 않아 재설치되어 증상 재연. 해결방법 ? 10월 1.. 윈도우 제품키 미설치 상태에서 정품 확인 방법 윈도우 제품키 미설치 상태에서 정품 확인 방법 Microsoft PID Check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roduct Key 입력만으로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직 윈도우 제품 키 입력 전이라면 PID Checker를 이용해봐도 좋다. PID Checker는 Ultimate PID Checker 와 Microsoft PID Checker 두 가지. Ultimate PID는 윈도우 10 이전 버전 모두 지원, Microsoft PID Checker는 윈도우 10 및 서버 2016만 지원. PID Checker 윈도우 제품키 설치 상태에서 정품 확인 방법 slmgr /dlv slmgr /dli slmgr /xpr 용어정리 slmgr /ipk xxxxx-xxxxx-xxxxx-xxxxx-xxxxx 제품.. 3월 10일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인쇄 시 BSOD 발생 (KB5000802, KB5000808) 증상 : 3월 10일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인쇄 시 BSOD 발생 (KB5000802, KB5000808) 원인 : 윈도우 업데이트 KB5000802 (KB5000808) 로 인한 특정 제조사 프린터 드라이버 이상 대상 : 프린터제조사 교세라 /신도리코 외 조치 : 업데이트 코드 삭제 CMD(관리자 권한 실행) wusa /uninstall /kb:500802 /norestart wusa /uninstall /kb:500808 /norestart 프린터 드라이버 제거 프린터 드라이버 PCL6로 변경 이슈 건에 대한 MS 공식페이지 조치가이드 Resolved issues in Windows 10, version 20H2 and Windows Server, version 20H2 Resolved issues.. RSimageX – GPT & EFI 복구 방법 1. 파티션 선택 2. 구성할 디스크 선택 데이터 디스크 선택하면 책임 못짐. 3. GPT 버튼 클릭 (기본값으로 자동 설정됨) 주의 : 이전파티션모두삭제 옵션이 체크되므로 주의 필요 각 파티션의 용량 설정, 각 파티션의 크기는 임의대로 크기를 설정할 수 있음, 공백은 나머지 전체 크기를 할당함. 4. 파티션생성 파티션 생성후 디스크 관리 버튼을 사용 구성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4-1. 나가기 5. WIM 파일 선택 6. 설치할 이미지 번호 선택 통합 윈도우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만 선택 7. 설치할 드라이브 선택 C 드라이브가 아닐 수도 있음 파티션 드라이브 명을 선택 주의 8. 윈도우 버전 선택 9. SystemDrive 선택 UEFI 방식으로 파티션을 나누면 생성 10. UEFI 선택 1.. RSimageX – Legacy (MBR) 복구 방법 복원할 이미지를 선택 이미지 번호는 통합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만 선택 복원할 대상 하드디스크 선택 복원될 윈도우 버전 선택 BCDBOOT 체크, 이미지 복구 위치, Bios, 기존 BCD 제거 선택 설치시작 윈도우 10의 "빠른 시작" 기능 활성화의 문제점 "빠른 시작" 이란 Windows 8 버전 이후 도입된 기능. 전원 절약 및 빠른 시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추가 변경된 종료 방식. 빠른 시작 켜기를 설정한 상태에서 PC를 종료하면 커널 세션은 닫히지 않고 최대 절전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설계. 최대 절전 모드는 전력 소모 면에서는 전원을 끈 것과 동일한 수준이고, PC 부팅 또는 작업 복원 시 부팅과정이 단축되어 부팅 과정(속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짐. 전원 오류 발생 시 데이터를 메모리와 하드디스크 두 곳에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에 대한 위험이 적으나, 빠른 시작 켜기 활성화로 환경적 요인(S/W, 주변장치 등) 으로 인한 장애 발생 가능성 있음. “빠른 시작 켜기” 기능 활성화로 인한 장애 증상 시스템 정상 종료 후 스스로 전원 켜짐 시스템 .. 부팅되지 않는 윈도우의 IP 정보 확인하는 방법 아래 이미지 순서의 방법은 윈도우가 부팅되지 않는 상태에서 WinPE를 사용하여 기존에 등록된 IP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하이브 로드를 이용하여 기존에 있는 시스템 파일을 불러 Tcp/ip ✔ Interfaces 에 입력된 IP 정보를 조회해 볼수 있다 새로운 글 갱신 부팅되지 않는 PC의 IP 정보들을 확인하는 방법 IP 정보들을 확인하는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하이브 로드를 이용하여 기존에 있는 시스템 파일을 불러와 Print ✔ Monitors & Tcp/ip ✔ Interfaces 에 입력된 IP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다 아래 tooltip.tistory.com 이전 1 2 3 다음